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| 주 15시간 기준 실제 예시까지

by 골드인포블러그 2025. 9. 25.

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❘ 주 15시간 기준 실제 예시까지

📌 목차

주휴수당이란?

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❘ 주 15시간 기준 실제 예시까지
출처 : 고용노동부

 
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가 유급으로 하루치 임금을 받는 제도입니다.
‘유급 주휴일’이라고도 하며, 알바생이라도 일정 조건만 충족하면 정당하게 받을 수 있는 권리예요.

예를 들어, 주중에 3시간씩 5일간 근무해 총 15시간을 일했다면, 그 주에 하루를 쉬더라도 하루치(3시간 분)의 시급이 추가로 지급됩니다.
한 달 기준으로도 꽤 큰 금액이니, 꼭 알고 챙기셔야 해요.

주휴수당 조건: 주 15시간 기준 이해하기

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| 주 15시간 기준 실제 예시까지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| 주 15시간 기준 실제 예시까지
출처 : 고용노동부

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
  1. 주 15시간 이상 근무
    하루 3시간씩 5일, 또는 하루 5시간씩 3일 등 어떤 방식이든 주 15시간 이상이면 OK!
  2. 소정 근로일 개근
    근로계약서에서 정한 날짜에 결근·지각·조퇴 없이 개근해야 합니다.

이 두 가지가 만족되면, 그 주에는 유급 휴일이 발생하며, 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게 됩니다.

 

주휴수당 계산 방법 공식 및 실제 예시

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| 주 15시간 기준 실제 예시까지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| 주 15시간 기준 실제 예시까지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| 주 15시간 기준 실제 예시까지
출처 : 고용노동부

주휴수당 계산은 다음 공식으로 쉽게 할 수 있습니다.

시급 × 1일 소정근로시간 = 주휴수당

💡 예시 1: 시급 9,860원, 하루 3시간, 주 5일 근무

  • 주 근무시간: 3시간 × 5일 = 15시간
  • 주휴수당: 9,860 × 3시간 = 29,580원
  • 주급 총합: (9,860 × 15) + 29,580 = 177,480원

💡 예시 2: 시급 11,000원, 하루 4시간, 주 4일 근무

  • 주 근무시간: 4시간 × 4일 = 16시간
  • 주휴수당: 11,000 × 4시간 = 44,000원
  • 주급 총합: (11,000 × 16) + 44,000 = 220,000원

※ 주휴수당은 고정급처럼 보너스로 붙는 게 아니라, 주 15시간 이상 개근했을 때 발생하는 ‘유급휴일 수당’입니다.

자주 묻는 질문 FAQ

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| 주 15시간 기준 실제 예시까지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| 주 15시간 기준 실제 예시까지
출처 : 고용노동부

Q. 주말만 일해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?

→ 받을 수 있어요! 예를 들어 토·일에 8시간씩 일하면 주 16시간이므로 지급 대상입니다.

Q. 주 15시간 넘게 일했지만 지각한 적이 있어요. 못 받나요?

→ 원칙적으로는 '개근' 조건이 있어 지각도 해당 주에는 제외될 수 있어요. 다만 사업장마다 유연하게 적용하기도 하니 사장님과 상의해보세요.

Q. 사업장이 주휴수당을 안 줘요.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→ 근로계약서와 실제 출퇴근 내역을 확보한 후 고용노동부 고객센터 (☎1350) 또는 국민신문고에 신고할 수 있어요.

Q. 근무일이 들쭉날쭉한 경우엔 어떻게 계산하죠?

→ 매주 계산이 필요해요. 주간 기준으로 15시간 이상 + 개근 여부만 확인하면 됩니다.

마무리

주휴수당은 알바하는 우리 모두가 누려야 할 소중한 권리입니다.
단순히 ‘일한 시간만큼만 받는다’는 생각보다는, 내가 받을 수 있는 정당한 수당을 제대로 챙긴다는 마음으로 꼼꼼히 확인해보세요.

 

매주 근무시간을 기록하고, 급여명세서를 꼭 확인하세요.
알바도 권리가 있는 노동입니다. 필요한 경우 당당히 요청하고 신고도 고려하세요.


TOP

Designed by 티스토리